728x90 반응형 *과학이야기*27 Glibenclamide (글리벤클라마이드) Glyburide 라고도 알려진 Glibenclamide는 제 2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항당뇨병 약물입니다. 식이요법 및 운동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당뇨병 치료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 1형 당뇨병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보통 알약을 입으로 삼키는 형태로 약을 섭취합니다.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과 속쓰림이 있습니다.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혈관부종과 저혈당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임신 중에는 권장되지 않지만 모유 수유 중에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포닐우레아 계열 약물에 속하며 췌장에서 인슐린 방출을 증가시켜 작용합니다. Glibenclamide는 1969년에 발견되어 1984년 미국에서 의료용으로 승인되었습니다. 제네릭 의약품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2023. 1. 29. 식혜를 만드는 원리, 아밀레이스(amylase) 설에 식혜 많이 드셨나요? 저는 어릴 때 엄마가 식혜를 만들어 주시면 그냥 별생각 없이 마셨었습니다. 그러다 나이가 들어 식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고 나니 식혜가 얼마나 정성이 많이 들어가는 음료인지 세상 깨닫고 엄마에게 미안했었답니다 🥲 엿기름 내는 과정이 정말 쉽지 않더라고요.. 손목 하나쯤은 그냥 나갈 듯..😢 식혜는 물에 엿기름을 내어 만듭니다. 엿기름은 싹이 튼 보리 말린걸 면포에 넣고 물에서 계속 조물조물하면서 보리를 계속 짜주면 우리가 아는 식혜의 그 탁한 물이 점점 나오게 됩니다. 보리에서 뭐가 나오는 걸까요? 바로 보리의 효소, 아밀레이스(amylase)가 나오게 됩니다. 아밀레이스(amylase)란? 녹말을 가수분해하여 당으로 만드는 효소이다. 사람의 침에 많이 들어있어 소화 작용을.. 2023. 1. 24. COVID-19 mRNA 백신, 안전할까?? (화이자, 모더나 그리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비교) mRNA vaccine에 대해 알아볼까요?Messenger RNA vaccine을 줄여서 mRNA vaccine이라 부르는데 벌써 mRNA vaccine 들이 미국에서 투여가 되고 있죠. 새로운 접근 방식의 백신mRNA 백신은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백신입니다. 면역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많은 백신들은 약해지거나 죽은 병원균을 직접 우리 몸에 집어 넣는데 mRNA 백신은 그렇지 않습니다. 대신 바이러스의 단백질 일부를 만들 수 있는 mRNA를 넣어주어 우리 몸에 있는 세포들이 병원균의 단백질을 만들 수 있게 해주고 우리 몸 안에서 면역 반응이 일어나게 유도합니다. 면역반응이 일어난 후 우리 몸이 진짜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었을 때 미리 “학습된” 면역 반응으로 항체를 만들고 인체를 보호하게 .. 2020. 12. 30. '어린이 괴질' 서울서도 의심 환자 2건 '어린이 괴질' 서울서도 의심환자 2건 이른바 '소아 괴질'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연관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의심환자 2명이 확인되었습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6일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감시, 조사체계를 가동한 결과 2건의 의심사례가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10세 미만 1명과 10대 1명으로 이 중 10세 미만 환자는 사례정의에 부합하지는 않지만 모두 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두 명 모두 코로나 19 검사에서는 '음성'으로 나왔고 과거에 코로나 19에 걸렸는지를 추가 확인중이라고 합니다. 미국과 유럽 등을 중심으로 코로나 19관련 '어린이 괴질'이 발견되자 방역당국도 감시체계를 지난 25일부터 운영했으며 의심사례가 바로 나타났습니다. 이 질환은 지난 4월 유럽에서 처음.. 2020. 5. 26. 이전 1 2 3 4 5 6 7 다음 728x90 반응형